블로그 다시 시작하기, 블로그 버전업.

블로그 쓰지 않은지 상당히 오래 되었다.
마지막 글이 2013년 이라니…
입사 10주년 글은 블로그에 적어두고 싶었는데 그마저도 페이스북에 남기게 되었다.
내 블로그는 2006년에 태어났고, 지금이 2018년 3월인데.. draft글까지 포함 한다면 총 글의 개수는 69개.
말이 월간 블로그지 분기 불로그라는 말이 더 어울린다.

블로그를 다시 시작해야 겠다고 생각하면서 실천하지 않고 있던차에 페이스북에서 글 하나를 보게 되었다.
https://taegon.kim/archives/7107
나 역시 저 글의 내용에 대부분 공감한다. 그렇기 때문에 블로그를 시작했던거였고..
아무튼 다시 잘 써봐야지.

내 블로그는 WordPress(워드프레스) 로 만들어졌다.
버전은 2.0.4 이고 2006년 당시에는 최신 버전이였다.
워드프레스 2.0.4 버전 관리자 페이지
지금은 워드프레스에서 제공하는 깔끔한 테마와 호환도 되지 않고, 버전이 너무 낮아 스팸을 걸러주는 플러그인 이라던지 유용하게 사용하던 플러그인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

워드프레스는 2단계의 메이저 릴리즈로 업그레이드 하려면 마이너 버전 2단계씩 업그레이드 하라고 권장하고 있다.
https://codex.wordpress.org/Upgrading_WordPress_Extended
현재까지 최신 버전이 4.9.4 이고, 3.7 버전부터는 자동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고 하니 3.7까지만 어떻게든 올린다면 그 다음부터는 쉬워진다는 말이다.

그런데 2.0.4 에서 3.7까지 마이너 버전업을 2단계씩 하려면.. 너무 귀찮다.;;
파일과 DB를 백업해 두고, 플러그인과 테마를 해제하고 버전을 2.7로 우선 올려보니 잘 된다.
그리고 자동 버전업이 지원되는 3.7로 다시 올려보니 이번에도 성공!
버전 2.7 업데이트후 DB 업데이트 진행중

어라? 너무 쉽게 된다.. 이러면 불안한데;;;
어쨌든 4.9.4로 버전업 완료!
워드프레스 4.9.4 업데이트 완료
감동 ㅠ_ㅠ

기본 테마에 군더더기를 없앤 느낌도 들고 새로 시작하는 느낌이 들어서 좋다.
한달에 글 하나쯤은 적도록 노력해봐야겠다.

요즘 사는 이야기

나이
회사를 옮긴지 벌써 5개월이 지났다. 2013년이 된지 얼마 되지도 않은거 같은데. 심지어 서른살이 되었다고 생각했던게 3년전 일이라니 시간이 너무 빨리 지나가는것 같다. 이 블로그에 글을 마지막으로 쓴지도 벌써 3년이 다되어 간다.
블로그에 Draft로 공개되지 않은 글이 꾀 많이 있지만 완료 하기에는 시기가 너무 늦어서 조만간 지워야 할 것만 같다.

지각
지각하는 습관이 쉽게 고쳐지지가 않아서 큰일이다. 불행인지 다행인지 지금까지 조직에서는 지각에 대하여 크게 문제 삼고 있진 않지만 그게 더 고쳐지지 않는것 일지도 모른다. 일찍 일어나긴 하지만 출근을 일찍 하고싶지 않다는 생각 때문에 집을 나서는 시간이 늦어져서 자연스럽게 출근 시간도 늦어지고 있다. 왜 이런 생각을 가지게 된걸까?

분사
분사한 회사로 함께 온 분들중에 퇴사자가 늘어나고 있다. 처음 여기 왔을때 가졌던 생각이 시간이 지나면서 바뀌는걸까..
분사 전 회사는 사원수가 워낙 많았기 때문에 받은 퇴사 인사 메일도 꾀 많이 받았었다. 여긴 사원수가 그곳에 비하면 5%도 되지 않는데 벌서 퇴사 인사 메일이 쌓여 간다.

취미
올초에 시작했던 “책 교환 독서모임”으로 인해 책 읽을 구실을 적절히 얻어 출,퇴근 오며가며 부지런히 읽고 있다. 내가 책을 그렇게 많이 좋아했던건 아닌데 생각보다 재미있다. “특기는 음악감상 취미는 독서입니다” 라는 클래식한 말은 괜히 나온건 아닌것 같다. 부디 모임이 지속적이고 정기적으로 유지되면 좋겠다.
최근 읽은 책은 휴식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인간이 끝없이 경쟁하고 부지런히 살아가는 이유중 하나는 결국 편안히 휴식하기 위해서 라지만 그렇게 살아가는 것의 끝이 없는 관계로 올바르게 휴식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려주는 내용이다. 내가 그렇게 살아 갈 수 있을까?

휴가
2년전 유럽여행을 다녀온뒤로 또 가고 싶다고 생각을 가지고 올해 다시 가려고 했던지만 내년으로 미루면서 남은 휴가를 부모님 시골에 다녀오는데 쓰기로 했다.
다음부터는 시골로 휴가를 갈 계획이라면 가을이 적당할 것같다. 여름에는 덥기도 덥지만 도시에서 생각하는 시원한 공기를 마실 수 있는 곳이 없다. 에어콘이 없다는 말이다.
더군다나 휴식을 생각하며 내려갔지만 부모님이 농사를 도와줘야 된다는 말에 심리적 더위까지 더해졌으리라.

농사
농사는 생각보다 힘들었다. 잠시나마 귀농을 생각했다가 귀촌으로 바꾼 내 생각에 안도의 한숨이 나온다. 작년에 한번 경험 했었던 고추 수확을 올해도 했다. 고추는 내 무릎 까지 밖에 자라지 않아서 다 익은 고추를 따기 위해서는 허리를 숙이거나 쪼그려 앉아야만 한다. 거기다 고추는 따는 요령이 있다. 무턱대고 딸 수 없기 때문에 허리를 숙이거나 쪼그려 앉아있어야 하는 시간이 많이 걸린다.
사실상 고추는 키우고 수확하고 씻고 말리는 과정이 굉장히 힘든 일인데도 불구하고 마트에서 파는 국산 고추가루가 3Kg 에 55,000원 이라는 전단지를 보면 이해하기가 힘들다. 고추는 전체 성분중 수분이 80%나 되는 작물이다. 3kg의 가루를 내기 위해서는 얼마나 많은 고추를 수확하고 말려야 하는지 아는걸까.. 어째서 그리도 저렴한걸까?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 알아보기

웹 접근성은 정의상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동등하게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로 인해 일반사용자들이 불편을 감수하면서 까지 접근성을 확보해야 하는것은 아닙니다. 한국에는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이라는 웹사이트에서 웹 콘텐츠를 제공할 경우 지켜야하는 웹 접근성 지침 표준문서가 있습니다.

지난 9월 민간개발자를 대상으로 하는 웹 접근성 교육에 참여 했습니다. 그 중에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 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이 맡았는데요 자료와 핵심 내용만 간략하게 정리해서 블로그에 적으려 합니다.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KWCAG)은 W3C의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WCAG)를 한국 실정에 맞게 알아보기 쉽게 구성한 표준문서입니다. 현재는 1.0이 국가표준이고 2011년 2.0으로 국가표준이 개정될 예정입니다. 구성은 크게 4가지의 원칙과 13가지의 세부 지침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세부 지침별로 사례별 기술지침이 부가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자료 내용과 함께 내용을 확인하시면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의미의 모호함을 없애기 위해 “적절한” 이라는 단어를 가급적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첫째, 인식의 용이성(Perceivable)
기본 원칙은 모든 콘텐츠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어야 하는것이며 세 가지 세부지침으로 나누어진다.

  • 텍스트가 아닌 콘텐츠에는 대체 텍스트를 제공해야 한다.
    텍스트가 아닌 콘텐츠는 그 의미나 용도를 이해할 수 있도록 대체텍스트를 제공해야 한다. 충분한 대체텍스트를 제공하는 것이지 너무 불필요한 모든 내용을 대체텍스트로 제공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 요다. 제공된 대체텍스트는 일반적인 접근을 하지 못하는 사용자 뿐만 아니라 예외적인 상황에서는 일반인들에게도 유용할 수 있다.
    만약 너무 복잡하거나 긴 콘텐츠를 대체텍스트로 제공해야 한다면 별도의 부가설명페이지가 마련되어 있는 링크를 직접 추가해두거나 longdesc 속성을 이용하여 대체텍스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하지만 국내 스크린리더 사용자들중 longdesc의 옵션을 사용할 줄 아는 사용자가 많지 않아 longdesc 보다는 alt 속성으로 되도록이면 제공하는것이 좋다는 의견도 최근에 있었다.
  • 동영상, 음성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해할 수 있도록 대체 수단을 제공해야 한다.
    동영상은 소리를 들을 수 없는 사용자나 영상을 볼 수 없는 사용자를 위한 대체 수단이 필요하다. 가장 쉬운 방법은 자막이나 원고를 첨부하는 것이고 수화는 소리를 들을 수 없는 사용자를 위해 추가로 제공하는 것이다. 자막은 수정이 불가능한 닫힌자막과 사용자가 수정이 가능한 열린자막으로 나눌 수 있으며 되도록이면 열린자막을 제공하는것이 좋다. 열린자막은 사용자의 환경에 맞게 크기, 색상, 속도 등을 조절할 수가 있으며 언어의 변환이나 검색에도 용이하기 때문이다.
  • 콘텐츠는 명확하게 전달되어야 한다.
    콘텐츠는 색상에 관계없이 인식이 가능하도록 제작되어야 하며 방향이나 모양 크기나 위치 색상등을 지시할 경우에는 명확한 설명이 있어야 한다. 저시력자를 위해 텍스트의 색상은 12px을 기본 크기로 가정할 경우 약 4.5대1의 비율 이상으로 설정해야 한다. 음성을 이용하여 접근하는 사용자를 위해 자동으로 배경음이 실행되도록 해서는 안되며 반드시 필요한 경우 3초 이상을 넘기지 말거나 사용자가 선택이 가능한 기능이 마련되어야 한다.
    전경색 배경색 색 대비 알아보는 차트(#ffffff 기준)

둘째, 운용의 용이성(Operable)
기본 원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는 직접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하고 네비게이션(이동)할 수 있어야 하는것이며 네 가지 세부지침으로 나누어진다.

  • 콘텐츠는 키보드로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마우스를 사용하지 못하는 환경이나 사용자들을 위해 키보드만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해야 하며 마우스에서만 동작이 가능한 스크립트 이벤트(onmouseover, onmouseout)는 키보드 이벤트도 함께 제공하는것이 좋다. 키보드가 접근할 경우 기본적으로 표시되는 초점(아웃라인)이 없어지지 않도록 스타일 사용에도 주의해야 하며 접근순서가 구성요소의 논리적인 순서와 다른 순서로 이동되어서는 안된다.
  • 콘텐츠를 읽고 사용하는데 충분한 시간을 제공해야 한다.
    콘텐츠를 읽는데 시간제한이 있다면 불편할 것이다. 그러나 어쩔 수 없는 경우 그 시간제한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는 기능만이라도 제공된다면 불편이 줄어들 것이다. 이런 경우는 콘텐츠가 움직이거나 이동한다던지 페이지가 자동으로 이동되는 경우나 서식 작성시 보안이나 로그인 세션 문제 등의 이유로 작성 제한시간이 주어지는 경우 일 것이다.
  • 광과민성 발작을 일으킬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아야 한다.
    광과민성 발작을 일으키는 사용자가 느끼는 광과민성 콘텐츠는 초당 3회에서 50회의 깜빡임이다. 주로 gif 애니메이션 이나 플래시를 이용한 콘텐츠에서 문제가 발생하며 자주 사용되는곳은 없지만 <blink> 나 <marquee> 등을 사용할 경우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콘텐츠는 쉽게 내비게이션 할 수 있어야 한다.
    쉽게 내비게이션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은 쉽게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이 말은 두가지의 의미로 해석할 수 있으며 실제로 콘텐츠별 영역으로 쉽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과 그렇게 이동하기 위해서는 링크의 명확한 목적설명이나 독립적인 페이지 타이틀을 제공한다던지 콘텐츠 블록에 콘텐츠를 설명하는 제목을 제공해서 어떠한 내용이나 용도, 목적을 가지는 콘텐츠인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이해의 용이성(Understandable)
기본 원칙은 콘텐츠를 쉽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하는것이며 네 가지 세부지침으로 나누어진다.

  • 콘텐츠는 읽고 이해하기 쉬워야 한다.
    문서를 구성할 때 문서에서 사용되는 주 언어가 무엇인지를 선언해야 한다. 선언한 언어 코드는 음성인식 보조기기와 번역프로그램 그리고 검색엔진에 정확한 단어와 문장의 뜻으로 제공되어 도움을 줄 수 있다.
    공식언어코드(ISO 630) 목록
  • 콘텐츠의 기능과 실행결과는 예측 가능해야 한다.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동작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어 셀렉트박스 리스트를 선택했을 뿐인데 script 이벤트나 페이지 이동이 일어나서는 안되고 링크를 클릭했을 때 사용자가 예측하지 못하게 새창으로 이동되어서는 안된다.
  • 콘텐츠는 논리적으로 구성해야 한다.
    콘텐츠를 구성할 때는 논리적으로 콘텐츠가 순서에 맞게 구성이 되어야 하며 스타일이 더해진 상태에서도 마찬가지여야 한다. 표(<table>)를 구성하더라도 이해하기 쉽게 구성이 되어야 하며 되도록 데이터 표가 아닌 콘텐츠를 <table>을 이용해서 구성하지는 않아야 한다.
  • 입력 오류를 방지하거나 정정할 수 있어야 한다.
    서식을 입력하는 컨트롤에는 어떤 내용을 입력하는지에 대한 레이블이 제공되어야 한다. 만약 제공이 어렵다면 title 속성으로라도 대체해야 하고 컨트롤별 그룹이 필요한 경우(예를 들어 비슷한 내용을 입력해야 하는 컨트롤들이 있거나 하나의 질의에 대한 답변을 선택하는 라디오버튼이나 체크박스 들의 그룹)<fieldset>을 활용하여 그룹시키고 <legend>로 용도나 목적을 설명하는 것이 좋다.

넷째, 견고성(Robust)
기본 원칙은 미래의 기술로도 웹 콘텐츠를 접근하는데 무리가 없도록 견고하게 만들어야 하는것이며 두 가지 세부지침으로 나누어진다.

  • 웹 콘텐츠는 마크업 언어의 문법을 준수해야 한다.
    다양한 기술이 웹 콘텐츠에 문제 없이 접근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조건은 올바른 문법으로 웹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이다. 당연한 말이지만 문법은 문서선언(DOCTYPE)에 맞게 작성되어야 한다.
  • 웹 애플리케이션은 접근성이 있어야 한다.
    콘텐츠에 포함된 웹 애플리케이션은 자체적인 접근성이 있어야 하는데 만약 그러지 못할 경우를 대비해서 대체 콘텐츠를 제공해야 한다. 다만 브라우저마다 애플리케이션의 대체기법을 인식하는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주의를 해야 한다.

.
.

여기 까지가 자료의 핵심 내용입니다. 아직까지는 웹 접근성 품질마크 인증을 위해서 1.0 기준을 따라야 하지만 곧 2.0으로 바뀔 것이기 때문에 미리 알아 두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하지만 주요 내용이 크게 달라지지 않기 때문에 1.0을 잘 준수하고 있었다면 큰 어려움이 없다고 생각됩니다.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 에 대한 TTA표준 문서는 되도록 읽어 보는것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이 자료는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을 단지 알기 쉽도록 제작했기 때문에 깊이 이해하기는 힘들 수 있습니다.

관련 자료는 아래 slideshare 프리뷰문서로 확인이 가능하고 pdf 파일로 다운받아서 참고할 수 도 있습니다. 만약 다른 곳에서 공유할 경우 조그맣게 출처 밝혀주면 고맙겠습니다. 🙂

한국형웹콘텐츠접근성지침2.0알아보기.pdf
관련 자료

웹 접근성 국제 세미나 후기

국제 웹 접근성 세미나 광경

2010년 10월 6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국제 웹 접근성 세미나가 개최되었다.
W3C와 여러 공공 및 민간에서 웹 접근성 분야를 대표하여 발표를 했고 그 중 나는 관심을 가졌던 W3C 웹 접근성 위원회(WAI)의장을 맡고 있는 주디 브루어(Judy Brewer)와 미 재활법 508조를 담당하고 있는 티모시 크리건(Timothy Creagan)의 발표 내용을 정리하려 한다.
이미 팀 블로그인 NULI에 내용을 요약 정리했지만 참여하지 못한 분들에게 최대한 모든 내용을 알려주기 위해 자세하게 정리했다. 때문에 내용이 딱딱하고 길어질 수 있는 점 참고하길 바란다.

W3C 웹 접근성 표준화 동향 및 향후 웹 접근성 방향
Web Accessibility: Progress, Resources and Future Challenges
Judy Brewer / W3C WAI (WAI 의장)

주디 브루어의 발표장면

장애를 가진 사람들도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하는것이 접근성의 기본 원칙이며,
웹 접근성의 가장 중요한 점은 한가지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아니라 다양한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다.
장애의 종류는 청력, 전맹, 저시력, 상지, 언어, 기억력, 지적, 발작 장애등 여러가지 다양하다. 중요한 점은 이러한 장애가 장애인들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나이가 들면서 장애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다양한 웹 접근성 문제를 준수하기 위해서는 W3C의 가이드 라인을 준수해야 한다. 웹 접근성의 주요 원칙은 아래와 같이 4가지로 나누어 진다.

  1. 인식의 용이성
    웹 사이트의 정보 콘텐츠가 명확하게 인식되도록 제공되어야 한다. 웹 사이트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정보를 보고나 듣거나 어떤 상황에서든 동등하게 제공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미지에 대한 대체텍스트, 미디어라면 캡션이 존재해야 한다. 사용자는 대체텍스트를 이용해서 사용자에 맞게 큰 글씨체로 보고자 할 때 그것을 가능하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사용자들이 쉽게 정보를 식별하도록 고대비로 제공하는것도 인식을 높이는 방법이다.
  2. 운용의 용이성
    웹사이트 사용자가 키보드를 사용하던지 마우스를 사용하던지 머리,눈 등 어떤것을 사용하던지 웹사이트의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온라인 서식에서 무엇을 작성할 경우 충분히 작성할 시간이 주어져야 한다. 번쩍거리는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는것이 중요하다. 웹사이트 내에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네비게이션을 잘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3. 이해의 용이성
    잘 읽을 수 있도록 가독성에 주의해야 한다. 디자인을 할 경우 일반성을 가진 디자인이어야 한다. 서식을 작성할 경우 서식입력에 필요한 도움을 얻을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4. 견고성
    몇몇 장애인들이 사용하고 있는 보조기술과 웹사이트가 잘 호환이 되어야 한다. 스크린리더, 음성인식소프트웨어, 마우스를 대신해 눈으로 작동하는 소프트웨어, 등(실제 행사장에 오셨던 분중 장애를 가지신 분중에 눈으로 마우스를 대신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시는 분의 말을 들어보면 국내 웹 사이트 대부분이 잘 호환이 되지 않고 있다고 한다.) 정보화진흥원에는 보조기술에 대한 정보를 1층 에서 잘 체험학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WAI 소개
WAI는 W3C에서 웹을 위해 제작되는 다양한 표준에서 웹 접근성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적인 기반을 알리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 Introducing Accessibility
    웹 접근성이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접근성을 고려한 제작이 중요한지,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어떻게 이용하는지(11월 개정 예정), 접근성 지침이 어떻게 도와줄 수 있는지, 웹 접근성과 고령층에 대한 관계 등을 소개한다.
  • Guidelines & Techniques
    웹 접근성이 있는 코드에 대한 기술을 확인할 수 있고 HOW TO WCAG2.0 에는 어떻게 하면 접근성을 준수할 수 있을지에 대한 내용이 있다. 예를들어 HTML, CSS, Javascript를 이용하여 WCAG2.0의 AA 기준에 준수하게 제작려 한다면 그 기준에 맞는 정확한 지침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플래시나 실버라이트에 대한 정보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시키고 있다.
  • Managing Accessibility
    웹 접근성 관리도구에 대한 내용에는 웹 접근성을 어떻게 지켜야 하는지에 대한 당위성에 대해 다루고 있다. 예를들어 사법적, 기술적,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이유 등을 다루고 있고 다양한 모바일 기기들의 대응을 위한 내용도 다루고 있다.
  • Evaluating Accessibility
    W3C에서 표준을 진행할 때 접근성 관련 문제가 발생하는지에 대해 WAI에서 관리를 하며 그렇게 나온 표준 문서들이 접근성 평가를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평가는 비교적 개발하는 도중에 평가툴을 사용하는것이 좋으며, 이것은 웹 개발 초기부터 하는 것이 좋다.

종류별 다양한 지침
그 밖에 웹 접근성을 준수하기 위해 참고하면 좋은 지침들이 있다.

  • 저작 도구 접근성 지침(ATAG)
    웹 사이트를 개발할 경우 제작도구를 활용할 것이다. 저작도구는 HTML제작도구, 블로깅제작도구, 위키소프트웨어 등등 다양하다. 이런 웹 사이트 저작도구에 대한 지침으로 ATAG 이라고 하는 개발도구접근성지침이 있다. ATAG 이라는 것은 소프트웨어제작자(개발자)를 위한 지침이며, 어떻게하면 웹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웹사이트를 만들수 있는 저작도구를 만들지에 대한 내용이다. 웹 개발자와 저작도구접근성지침과의 관계 중요성은 만약 사용하는 저작도구가 이 ATAG를 준수하는 저작도구가 아니라면 웹 접근성을 준수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웹사이트를 개발할 때 비용효율을 생각한다면 이런 기준을 지키는 툴은 웹사이트 개발시 시간을 줄여줄 수 있다. 예를 들어 ATAG을 지원하는 저작도구를 사용한다면 웹사이트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접근성)업무를 대신해주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WCAG)
    실제로 콘텐츠에 어떻게 웹 접근성을 보장하는가에 대한 지침이 WCAG 이다. 콘텐츠에 대한 지침의 최신 버전은 WCAG2.0이다. 웹사이트를 제작시 WCAG2.0을 활용한다면 1.0버전 보다 웹 접근성에 대한 기술 기준이 훨신 향상되어 있기 때문에 더 웹 접근성을 준수하는 웹사이트를 만들 수 있다. 이 지침은 HTML, CSS 뿐만 아니라 50여개가 넘는 W3C의 표준에 적용을 할 수 있다. WCAG2.0은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쉽고 정확한 테스트가 가능하다.
  • 유저 에이전트 접근성 지침(UAAG)
    방문자와 사용자들을 위한 UserAgent에 대해서도 접근성 가이드 라인이 있다. 주로 웹 브라우저나 비디오플레이어 등이 대상이다.
  • 웹 접근성 RIA(WAI-ARIA)
    ARIA를 사용한다면 스크립트등을 이용할 때 접근성 문제에 도움이 된다. 구축하는 웹사이트에서 자동으로 움직이거나 변화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보조기술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는 정보를 제공하기가 어렵다. ARAI에서는 이런 기법에 대해 접근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얻을수 있다. ARAI는 지침가이드라인이 아니라 테크닉이기 때문에 WCAG2.0을 준수하는 것을 기초로 확인하는 것이 좋다.

웹 사이트가 정말로 장애인들에게 접근성을 제대로 보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렇게 위 지침을 잘 준수해야 한다.

.
.
.

미국의 웹 접근성 법률 및 정책 동향 – 재활법 508조 중심
Timothy Creagan / U.S Access Board (미국 접근성 위원회)

티모시 크리건의 발표모습

재활법 508조가 하는 역할은 전자제품이나 웹사이트를 미국에 납품(?) 하기위해 필요한 표준을 다루고 있다. 이 표준은 소프트웨어, 웹, 전화(통신기기), 비디오(멀티미디어), 키오스크, 데스크톱 의 총 6가지 제품 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재활법 연대기

  • 1998년 재정( 통신기기 위주)
  • 2001년 508조 재정
  • 2008년 지금 재정중인 508조에 대해 자문위원회의 보고서 받음(제안서)

508조 초안은 과거 1장에서 6장까지에서 1장부터 10장까지로 개정안이 구성된다. 기존 표준에는 어떤 기능들의 변화가 있는지에 대한 내용이 있다. 예로 들어 과거에는 특정 기기가 전화냐 컴퓨터냐 를 구분했었지만 지금은 그런 구분을 하기가 힘들게 되었다. 그래서 이 기기가 전화냐 컴퓨터냐를 구분하기 보다는 어떠한 기능을 가지고 있느냐로 구분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되었다. 복사기를 예로 든다면 휠체어 사용자는 손이 어디까지 닫게 하는지에 대한 기준으로 달라지고 있다. 인터넷 같은경우 어떤 사용자에 따라 쉽게 이동(네비게이트)할 수 있는지에 대한 기준을 가지고 있다.

변화된 기준
변화된 기준으로는 약시, 난청, 신체적접촉없이 활용할 수 있는가 의 3가지로 크게 구분되었다. 약시(시각적 제약)와 전맹은 해결방법이 다르기때문에 약시의 최소 시력이 0.1로 법적 기준(미국)이 되었다.
신체적접촉없이 활용할 수 있는가 의 기준은 마비가 되었을 경우와 블루투스 기능이 확대되면서 추가 되었다.
10년전과 비교하여 두가지의 큰 변화가 있었다면 용어의 변화(전자정보기술 EIT -> 정보통신기술 ICT로 변경)와 적용 콘텐츠(어떤 매체를 이용하는지(이메일, CD) -> 어떤 메체가 관계없이 어떤 콘텐츠인가)의 변화가 있을 것이다.

미국 재활법 소개
현재까지 공개된 재활법 508조의 수정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제 1장
    모든 연방규정에는 제 1장에서 508조의 범위는 전자기기와 통신기기를 다 아우른다는 내용이 가장 처음에 있다. 1장은 두가지로 나눠져있고(255조와 508조)508조는 연방정부 기관이라면 반드시 준수해야 하고 255조는 상대적으로 비교적 쉽게 따를 수 있는 범위이다.
  • 제 2장
    디자인 기준에서 표준에 맞게 디자인이 되었는지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예를 들어 WCAG2.0의 기준을 준수했는지에 대한 설명이 있다. 2장은 어떻게 디자인하는지 보다는 결과물을 보는데 예를 들어 하나의 모드에서는 시각장애인, 청각, 난청, 저시력자 등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지에 대해 갖추고 있는지를 본다. 왜냐하면 각 장애마다 대한 해결책이 다르기 때문이다.
  • 제 3장
    3장에서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전화, 기기 등에 대한 공통적인 기능에 대해 다루고 있다. 기존에는 개인이 아는것 혹은 가지고 있는것을 인식 기준으로 나누었으나(주로 비밀번호나 보안카드) 개정안은 주로 생체인식(바이오 메트릭스)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는 9.11 사테 이후 안보(보안)이 강화 되었기 때문이고, 망막스캔, 지문 등 사람이라면 반드시 가지고 있는것에 대한것을 이용할 수 있는 지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고 있다.
  • 제 4장, 5장
    4장과 5장은 웹 접근성에 대해 다루고 있다. 4장은 플랫폼 어플리케이션, 인터렉티프 컨텐츠 5장은 전자문서에 대한 내용이다. 4장과 5장을 따로 구분한 이유는 대상으로 하는 사람이 다르기 때문이다. 4장은 웹개발자나 디자이너가 대상이며, 5장은 일상적인 컴퓨터 이용자(메일, 문서제작)가 대상이다.
  • 제 7장
    7장중 704는 제품에 대한 표준을 정의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품에서 어느 부분에 케이블을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단순히 보고 알 수 있게 되어 있는지 만져봐도 알 수 있는지에 대한 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 제 8장, 9장
    8장과 9장은 각각 하드웨어의 오디오 출력, 통신기능 대화의 기능에 대한 규정이다. 8장은 일반적인 모든 소리에 대한 부분, 9장은 실제적인 소통에 대한 부분을 다루고 있다. 예를 들어 핸드폰이 벨소리만 내는지 벨소리와 진동이 함께 되는지에 대한 기준, 그리고 의사소통과 관련된 부분은 듣고 이해하는것인지 문자를 이용해서 소통할 수 있는지에 대한 기준이다.
  • 제 10장
    10장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은 ICT에 대한 문서와 ICT 지원 서비스에 대한 내용, 제조업체 측에서 제품에 대해 어떠한 기능과 어떠한 접근성을 지원하는지에 대한 내용을 기관에 요청하도록 하는 내용이다.

이상..

.
.

이밖에도 미래 웹 접근성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민간업체들의 훌륭한 발표 내용들이 더 많다. 더 많은 내용은 다음 관련 링크에서 참고하기 바란다.

clearboth 정규식 스터디 후기

최근들어 가볼만한 소규모 스터디가 참 많이 생겨나고 있다고 생각이 들어서 좋은 현상인것 같아 기분이 좋다.
한편으로는 관심이 있는 것을 다 참여하지 못해 어떤 것을 참여해야 할까 웃으면서 고민하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 시간만 허락된다면 되도록 다양한 종류의 스터디에 많이 참여해보고 싶은 마음이다.
최근에 참여했던 스터디는 clearboth.org에서 주최했고 rootbox님이 진행했던 정규식 스터디였다.

rootbox님이 진행하는 정규식 스터디

정규식은 문자열의 패턴을 분석하고 약속된 규칙으로 검색과 치환을 할수 있는 표현 방식이다.
HTML과 CSS를 다루는 UI개발과는 어찌보면 전혀 연관되지도 않고 실제로 활용할 수도 없지만 이번 스터디의 대부분 참여자는 모두 현업을 HTML과 CSS로 하는분들이였다.
그만큼 HTML과 CSS 이외에도 점차적으로 관심과 개인 역량의 범위를 넓히려는 모습들이라고 생각이 들고 스스로 발전하려는 모습이 너무 좋아 보였다.

정규식 스터디 참여자들

첫 시간을 가진 이 스터디는 문자와 숫자를 어떻게 다루는지 각자 직접 실습을 해 보면서 진행되었다.
나는 30분 정도 늦게 도착을 해서 앞 부분을 듣지는 못했는데 처음 정규식을 접하는 사람이였다면 이 스터디가 어떤 느낌이 들었을지 궁금하다.
정규식이 어떤 것이고 무엇 때문에 그렇게 동작하는지에 대해 제대로 맥을 짚어주고 진행 했다면 첫 시간의 진행으로는 너무 어렵지도 않고 괜찮았던것 같았다.

다만 내용 보다도 내가 느꼈던 이번 스터디는 보통 스터디 인원은 작으면 작을 수록 좋은데 이번 스터디 인원은 크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작지는 않은 규모로 진행되다 보니 분위기가 어느쪽인지 약간 알기 힘든감이 있었고, 자원봉사(?)식의 도우미가 두명 있었는것 같았는데 이런 인원들은 실제로 돌아다니면서 일일히 알려줄 필요까지는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실제로 서서 이리저리 돌아다니며 자유롭게 말을 하다보니 주변이 너무 산만했고 그로 인해 분위기는 자연스럽게 소란스러워 질 수 있기 때문이다.
스터디는 진행자가 있다면 다른 멤버들은 스터디 내용을 미리 예습하거나 파악해오는 것이 당연한 것이다.
거기서 진행자 외에 별도의 도우미가 서서 돌아다니며 일일히 알려주는 행동은 그다지 좋지 않다고 생각되었다.
진행 도중에 물어본다면 오히려 진행을 못 따라갈 수도 있을테고, 필요하다면 메모를 했다가 휴식시간에 모르는 부분을 질문 하는 것이 더 좋을것 같기 때문이다.

정규식의 활용 범위는 정규식을 잘 알면 알 수록 다양해 질 수 있고, 실무에서 복잡한 코드를 자동화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응용해서 많이 다루고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나는 개인적으로 이 스터디가 UI개발자들을 대상으로 진행 하는 것이 어찌보면 이것으로 인해 javascript나 다른 서버 언어들에 다가갈 수 있는 아이템을 한가지는 얻을 수 있는 기회여서 매우 좋다고 생각하며, 앞으로 더 진행되는지에 대한 계획은 알 수 없었지만 다양한 부분으로 확장되어 진행되었으면 하는 바람도 가져보고 싶다.

더운날 스터디 진행을 해주신 장기웅(rootbox)님 고마웠습니다.